
콜레라 예방사업과 의료사업의 연합화 1894년 11월부터 새로운 체제로 출발한 제중원 의사들은 국가적 규모의 방역사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했다. 청일전쟁이 시작된 후 만주에서 전투 중인 일본군 내에서 발생한 콜레라가 점차 한국의 국경지대로 남하했고 평양 등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이를 알게 된 정부는 콜레라 병원을 설치하여 다음 해까지 운영했다. 정부에서는 에비슨을 방역 총책임자로 임명하고 경찰 인력과 재정을 제공하면서 방역에 관련된 전권을 위임했다. 에비슨의 지휘 하에 의료선교사들과 조수들은 조직적이고 헌신적으로 봉사했는데, 북장로회 소속의 간호원 아버클의 활약이 매우 두드러졌다. 콜레라 퇴치 활동에는 감리교의 버스티드 의사도 함께 협력했다. 결과적으로는 총사망자가 5,000여 명에 이르렀지만 선..

실즈(Esther Lucas Shields) 실즈는 간호사 양성의 선구자였다. 그녀는 1868년 펜실베니아 주의 테이로어빌에서 장로의 딸로 태어났다. 1891년 필라델피아병원 간호원양성학교를 졸업하고 세인트티모시병원에서 1년간 간호 훈련과장을 마쳤다. 북장로교 선교사가 되어 1897년 10월 14일에 내한한 후 제중원에서 간호 업무와 전도를 담당하다가 의학생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1901년에는 격무로 탈진하고 신경쇠약에 걸려 평양에서 요양하면서 전도활동을 이어갔다. 한동안 전도에 전념하던 그녀는 1904년부터 세브란스 간호양성학교 초대 교장을 지냈다. 그녀는 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간호사의 자기 정체성이 없던 당시, 12가지의 간호사 생활수칙을 만들고 여기에 준하는 생활 관습을 통해 직업의식을 갖도록 교육했..

필드(Eva Filed) 필드는 에비슨의 병원 확장 정책에 따라 내한하여 한때 병원을 떠나기도 하여 실제로 활동한 기간을 짧았다. 그녀는 아이오와주의 디모인 출신이었다. 1896년 시카고 여자의대를 졸업하고 쿡 카운터의 메리 톰슨 병원에서 인턴을 하였다. 1897년 10월 14일에 내한하여 제중원에 부임하였다. 1890년에 에브슨이 안식년으로 캐나다에 갔을 때는 실즈와 함께 제중원의 책임을 맡았다. 1901년에 전도활동에만 전념하기 위해 병원을 떠났다. 1908년에는 최초의 시편 번역자인 유대인 북장로교 선교사 피터스와 결혼했다. 1926년에 필드가 죽자 피터스는 아내를 기념하기 위해 세브란스병원에 대수술실을 마련하였다. 사록스(Alfred M. Sharrocks) 샤록스의 제중원 활동은 1년 정도였다...

파워(Charles Power) 파워는 북 장로교회 의료선교사로 파송받아 제중원에서 일했다. 1888년 11월에 내한하여 1888년 12월부터 헤론과 함께 근무를 시작하였다. 사교성이 좋았고 한국어를 조금 구사할 줄 알게 되면서 한국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였다. 실력이 있는 의사였지만 신앙생활, 성수주일, 음주 등 여러 행동이 문제가 되어 선교사들 사이에서 조사를 받은 후 1889년 7월에 사임하였다. 하디(Robert. A. Hardie) 하디는 의료선교사였으나 오히려 부흥운동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그는 온타리오 주의 칼레도니아 태생이고 토론토 대학 의대를 졸업하였다. 토론토 대학 YMCA의 파송을 받아 내한한 하디는 1890년 9월 한국에 도착하였다. 10월부터 부산에서 의료선교사 활동을 시작하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