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 주파수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건강 주파수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1)
    • 제중원의 역사 (19)
    • 건강 정보 (1)
    • 내돈내산 건강 기능식품 (0)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20)
제중원의 발전과 개편

제중원의 발전 제중원은 개원 이래 알렌과 언더우드 6월에 한국에 들어온 헤론과 함께 활기찬 첫해를 보냈다. 개원 첫해인 1885년에만 265명의 환자를 진료하였고 그중 대수술도 150여 건이나 되었다. 10,460명에게 투약하고 환자들을 진료했을 정도로 활발하게 의료사역을 전개하였다. 1886년 3월에는 서양 의약 교육도 실시하게 된다. 교수는 알렌, 헤론, 언더우드였다. 학생은 처음에 16명이 선발되었으나 시험으로 4명이 탈락하고 12명이었다. 그 후 의학교 명의의 교육이 정상적으로 계속되지 못하다가 에비슨의 부임 후에 제중원이 선교부 중심으로 운영됨에 따라 1899년에는 제중원의 학교가 새로 출발하게 되었다. 에비슨은 1900년에 처음 안식년을 가진 후에 학생 조수들을 조직적으로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제중원의 역사 2021. 7. 21. 12:01
제중원의 개원과 운영방식

제중원의 개원일 제중원은 1885년 4월 10일에 재동에서 개원되었다. 개원일에는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다. 알렌의 일기에서는 4월9일에 외래환자 20명과 절단수술이 필요한 환자 등으로 더불어 개원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중원의 개원 날짜는 주장하는 이에 따라 조금 씩 차이가 있다. 이광린은 4월 10일 개원 설을 주장 민경배는 4월 14일 개원 설을 주장 박형우는 4월 9일 개원 설을 주장 알렌은 4월 9일부터 진료를 시작하여 4월 10일에 공식 개원을 주장 한다. 제중원의 개원은 한국 개신교 선교의 시작이자 세브란스 병원 및 의과대학 나아가 연세대학교 창립의 실질적 기점이다. 이는 서양식 근대 병원고 의학교육이 시작되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고, 기독교 전파가 불허되던 상황에서 환자의 진..

제중원의 역사 2021. 7. 19. 19:22
제중원의 설립 당시 시대적 배경

제중원의 설립 당시 시대적 배경의 이해 병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곳이기 때문에 매우 중시되어 왔다. 조선시대에도 병원은 그 업무가 중인들의 몫이긴 했으나 왕실을 담당하는 내의원 왕실의 종찬을 치료하고 고급 의관을 양성하는 전의감. 일반 백성을 치료하는 하급 의관을 육성하는 혜민서가 있었다. 주요 의서로는 널리 알려진 허준의 동의보감을 비롯해 여러 책들이 통용되던 시기였다. 17세기 초부터는 가톨릭 교회의 선교에 힘입어 조선에 한역 서학서들이 전래되는 가운데 서양 의서로 분류되는 샬의 주 제군징과 같은 책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의학의 한계를 깨닫고 서양의 의학을 수용적으로 인식하여 서양식 의료기구와 병원 설립의 필요성을 인정하게 된 것은 19세기 말에 개화파 인사들을 중..

제중원의 역사 2021. 7. 18. 13:52
제중원 설립의 시작

제중원의 설립의 시작 제중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한국 선교회의 공식적 선교의 첫 결실이다. 그리고 세브란스병원 및 의과대학, 나아가 연세대학교 창립의 실질적인 기점으로 본다. 그동안 이 병원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떠한 목적으로, 또 어떤 과정을 거쳐 설립되었는지 알아보자 한국인을 위한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은 조선 정부와 미국공사관 및 미국의 선교부와 연계되어 설립되었다. 그러나 그 주축은 의료선교사 알렌이었다. 미국 북 장로교회의 조선 선교는 초기에 의료선교가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물론 알렌은 의사였고, 후에 교사 자격으로 내한한 언더우드는 교육 선교사였지만, 그 후 연이어 내한한 에비슨, 헤론, 빈턴, 호턴 모두 의료선교사였다. 제중원 설립의 목적은? 그들의 내한 목적은 기독교 ..

제중원의 역사 2021. 7. 18. 12:31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